★ 자료모음 ★/☞ 숙제

왕따의 발생 원인

꿈꾸는찌니 2016. 3. 26. 19:28

1. 청소년의 특성과 문화에서 나오는 문제점

 

첫째, 청소년들은 육체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한 만큼 마음과 정신이 함께 커지지 못한 데서 비롯된 ?마음의 병?을 앓고 있다. 그래서 청소년들은 쉽게 자아 정체감의 위기에 빠지기도 한다. 청소년들은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제약을 심하게 받고 있으며, 성(性과) 이성(異性)에 대한 관심은 자꾸만 커져 가는데 해소는커녕 적절한 정보조차 얻기 어렵고, 경쟁적 분위기에서 비롯된 갈등과 긴장 등 많은 문제들이 이들을 정서적, 정신적으로 병들게 하고 있다. 청소년들은 낭비와 비합리적인 가치관이 지배적이다.

둘째, 청소년들은 고민하고 괴로워하면서 방황을 한다. 내면의 세계에 눈을 뜨면서 새로운 세계에 부딪친 이들은 불안해하면서 번민하게 된다. 그리하여 반항하거나 난폭해지거나 방종해지고, 부모, 가정, 형제, 학업 등에 대해 냉정한 태도를 갖는다.

셋째, 요즘 청소년들은 순간적인 대면관계로만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그 이상의 관계를 회피하면서 혼자만의 공간 속에서 자기 생활에 몰두하는 소위 ?접촉 공포 증후군?을 앓고 있으면서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 증상은 입시경쟁에 따른 성적 부담,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 단절 혹은 갈등의 심화, 세대 차이, 컴퓨터와 각종 오락기구 및 정보, 전자기기의 확대 보급 그리고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과외활동에서 그 원인이 찾을 수 있다.

넷째, 청소년들의 특성에 따라 쉽게 빠져들게 되는 불안과 혼란의 문화 속에서 그들은 역할 및 가치관의 혼란을 경험하고 때로는 일탈 행동을 하게 된다. 폭력이나 비행은 이러한 불안정한 심리상태의 연장선상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일종의 표시행위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청소년들을 흔히 ?보고 듣고 느끼는? 감각적 영상 문화의 세대라고 한다. 이들은 각종 영상 매체를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기성세대의 문자 시대의 삶, 즉 읽고 생각하는 삶과는 다른 감각생활에 익숙해 졌다. 영상시대의 청소년들은 개방적이며, 솔직하다. 그런 만큼 이해관계에 민감하며 자기 중심적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자기 편한 대로 생각하고 행동으로 옮김으로써 전혀 남을 배려하지 않는 극단적인 이기주의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영상 매체의 영향이 오늘의 집단따돌림 현상의 주요한 배경을 이룬다고 본다.

여섯째, 청소년들은 성적이 그들의 가치와 능력을 평가하는 절대기준이 되어버린 문화, 즉 이기주의를 부추기는 획일적 입시문화에서 고통을 받고 있다. 이들은 인생과 세상에 대한 참된 지혜를 배우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상급학교에 진학하기 위해 공부할 따름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은 따뜻한 우정보다는 치열한 경쟁의 정신을 체험하고, 자신의 이해관계에 비추어 판단하고, 양적으로 평가된 가치만을 중시하게 된다. 참다운 가치나 도덕에 대해 진지하게 물을 수 있는 여유가 없이 심각한 ?정신적 사막화?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그리하여 청소년들은 오직 자기만을 아는 극단적 이기주의에 빠져 있고,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의미, 즉 공동체 의식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는다.

 

2. 사회․문화적 요인

 

가치관의 혼란: 이익과 경쟁제일주의, 황금만능주의, 인간경시현상, 윤리의식이 부족하다. 우리 사회의 만연된 왜곡된 집단주의가 원인이다. 사회에 만연된 폭력성, 인권의식의 부족, 학벌 위주의 고용 구조, 향락적이고 천박한 대중 문화 그리고 매스컴의 인기위주의 매체 이기주의 및 비교육화(상업주의적이고, 흥미위주, 폭력적인 것을 무분별하게 양산: 유해 만화 등), 자신에 대해서는 관대하면서도 타인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냉정하다.

 

3. 교육적 요인

 

입시위주의 교육, 성적 중시 풍토, 획일적 교육제도, 학교의 미온적 태도(집단따돌림 문제를 관리할 자율적 장치의 부족), 학교 문화의 비인간화와 청소년 문화의 왜곡, 청소년의 욕구 표출 통로 부족, 과밀 학급으로 인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학생 상호간의 인간적인 관계 형성이 불가능, 획일적 교실 구조, 학생에 대한 교사의 편견 및 무시, 집단따돌림에 대한 소극적이고 안일한 태도, 학교와 사회의 협조 미비 및 괴리감이 원인이다.

 

4. 가정적 요인

 

학부모의 인식 부족과 체계적인 자식교육의 부족,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 부족, 부모의 과잉보호, 핵가족 및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가정교육이 부족하다.

 

5. 개인적 요인

 

과중한 스트레스, 불확실한 자아 정체성, 유행에 대한 과잉 동조, 무분별한 과시욕과 현시욕 그리고 낭비적 태도가 원인이다.



※ 이 글은 다른 사이트에서의 글을 미리 퍼온 것(관심이 있어서)입니다.

'★ 자료모음 ★ > ☞ 숙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따현상의 예방과 지도 방안  (0) 2016.03.26
왕따현상의 실태  (0) 2016.03.26
왕따의 정의  (0) 2016.03.26